반응형

인셉션

SF 영화 중 최고라고 말할 수 있는 영화

영화 인셉션은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코브라는 특수 요원의 역을 맡아 다른 사람의 꿈속에 들어가 생각을 훔치는 주인공이다. 코볼 회사에서 드림머신이라는 것을 이용해 기밀을 훔쳐오라고 지시하지만, 사이토가 이러한 계획을 눈치채면서 그의 라이벌인 기업 정보들을 훔치는 것이 아닌 생각을 심는 '인셉션'을 제안한다. 하지만 코볼 회사의 전략이었던 드림머신 계획이 실패하게 되면서 코브는 생명을 위협받게 된다. 이번 작전을 성공시키면 국제 수배자인 자신의 명의 회복시켜주겠다고 제안한다. 코브는 자신의 가족들을 생각하며 차마 이 제안을 거절하지 못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단 그 누구도 성공시키지 못했던 작전이기에 정예 요원들로만 팀을 구성하고, 피셔에게 접근하여 임무를 실행하지만 전혀 생각하지도 못 한 사건들이 눈앞에 일어나게 된다. 

상상을 초월하는 액션을 만든 크리스토퍼 놀런

영화를 2번 이상 아니 그 이상을 봐도 너무나도 다양한 시각으로 사람마다 영화를 보고 생각하는 사고가 다르고 이 시대의 천재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의 작품 중 최고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무엇이 이 영화가 이끌렸는지 알아보기 전에, 영화 '인셉션'을 그린 감독에 대해서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은 1970년 7월 30일 영국에서 태어났다. 학교 시설에 영화 편집을 할 수 있는 곳이 있었고 이 이유로 런던대학에 진학하여 영문학을 전공한다. 자신이 직접 각본부터 제작까지 하는 의지를 보인 점들이 매트릭스 워쇼스키 감독들과 비슷하다. 그리고 1989년 첫 작품 "미행", 뒤이어 2000년 " MEMENTO"라는 작품들로 관중들에게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그 후 "인썸니아"까지 범죄 스릴러의 관심을 보이면 자신이 재능을 나타냈다. 2005년 영화 베트맨 비긴즈의 감독으로 선정되어 망한 베트맨 시리즈를 재구성해 범죄 스릴러 영화로 재 부활시켰다. 특히 베트맨 다크 나이트는 슈퍼 히어로 영화는 크리스토퍼 놀런이 아니면 나올 수 없는 최고의 작품으로 호평을 받으며 세계적인 거장 감독으로 떠오르게 됐다. 이후 "인셉션", "다크 나이트 라이저", "인터스텔라" 등 하는 작품들마다 대흥행을 일으키며 대중들의 관심과 함께 천재 감독이라는 수식어를 지키게 된다. "인셉션"은 10년이라는 공을 들여 완성된 작품으로 기획부터 편집, 구성, 연출 모든 과정을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만의 감성으로 채워 나갔고 제작비가 무려 1억 6천만 달러가 아깝지 않은 큰 스케일과 긴장감을 늦출 수 없는 액션, CG, 출중한 연기를 가진 배우들의 물오른 연기가 만나 감히 역대급 영화를 완성시킨 감독이라 평할 수 있다. 

인셉션 영화 용어 

루시드 드림은 우리말로 번역하면 자각몽이라고 한다. 뜻 그대로 꿈을 꾸면서 그것이 꿈이라는 것을 자신이 자각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이 개념을 토대로 영화 내용에 적용하여 꿈의 자각뿐 아니라 현실에서 훈련을 통해자신들의 꿈을 통제하거나 바꿀 수도 있다는 발상을 하고 하나의 꿈을 다수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솜 나신 프로젝트를 더한다. 꿈의 공유를 어렵지 않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가 패시브 디바이스로 번역하면 휴대용 자동 솜 나신 정맥주사 기계로 드림 머신으로 불린다. 드림머신 가방은 최대 8명까지 접속할 가능하다. 그리고 솜 나신 프로젝트의 목적은 군사훈련으로 연구되었지만 이를 악용해 특정 목적을 쟁취하기 위해 꿈속에서 정보를 훔치는 것을 익스트레셕이라고 한다. "인셉션"의 뜻을 살펴보면 시작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지만 무의식에서 생각들이나 개념을 바꾸거나 주입하는 의미로 영화의 제목을 해석할 수도 있다. 

인셉션 리뷰

인셉셥의 결말은 보는 사람마다 다르게 해석할 수 있을 것 같다. 결말은 꿈과 현실의 다양함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다. 내가 지금까지 본 SF 영화 중 감히 최고의 작품이라 말할 수 있다. 꿈과 현실을 오가며 꿈을 뺏고 빼앗기는 스토리를 구상한 것 자체가 정말 신박하고 그 어느 곳에서도 느끼고 볼 수 없는 영화이다. 영화를 보면 지금 보는 장면이 꿈인지 현실인지 구분이 갈 수 없을 정도로 한 끗 차이이고 꿈이라고 생각한 곳이 현실이고 현실이라고 느낀 곳이 꿈인  아주 기이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